나르시시스트 치료방법 완벽정리
최근 나르시시스트 성향인 사람들의 범죄 사례들이 늘어나면서 나르시시스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개중에는 '나르시시스트는 하나의 성향일 뿐이며, 치료할 수 있는 질병과는 다르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나르시시즘은 그 정도가 심하면 정신 질환으로 분류되며, 치료방법도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나르시시스트의 치료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르시시스트 치료 전 환자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
나르시시시스트는 자신의 지나친 자기애가 정신질환의 일종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의사들도 환자가 자신이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개선하려는 의지를 갖는 시점까지 왔다면 치료의 반은 끝났다고 볼 만큼 자신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죠.
다만, 상담받을 동기가 있더라도 치료자가 굉장히 특별하거나 최고가 아니면 치료에 참여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의사나 심리치료사들은 아예 이들을 만날 기회가 없거나 무시당하는 게 보통입니다.
치료를 받더라도, 작은 결점 하나만으로도 자존감이 극으로 굴러 떨어지는 나르시시스트들은 문제를 인정하지 못하고, 드러내려 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에 매우 비협조적입니다.
특히나 치료자에 대해서도 다른 사람들을 대하듯 지배하고, 전문가를 이겼다는 우월감을 느낄 대상으로 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거짓말을 하거나 도발하고 깎아내리기도 합니다.
집요하게 치료자를 괴롭히다가 어느 순간 사소한 걸 트집 잡아서 갑자기 중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나르시시스트 치료법
나르시시즘 치료의 권위자 하인즈 코헛의 치료지침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분노, 원망, 적개심 등 부정적 감정 보다는 그런 감정을 일으키는 자신의 심리적 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의 근본적인 욕구좌절 상태를 파악한다.
2.부모로부터 받지 못한 적절한 대상관계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공감하며 자기 자신을 재통합하려는 시도를 해야한다.
3. 대상관계 욕구에서 부모의 잘못을 해결하는 작업과 수치심을 극복해야 한다. 수치심은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충분한 정서적 반응을 얻지 못한 것에서 온다.
4. 치료의 성공은 환자가 어린 시절에 발달할 수 없었던 대상관계 욕구를 재활성화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5. 치료사는 환자의 이상화를 수용해 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반영하며, 지원해야 한다.
6. 정신적 외상으로 남지 않을만한 공감적인 환경에서 발달 욕구를 계속 유지하며 최적의 좌절 경험을 반복한다.
즉, 치료사는 환자를 정신적 외상을 입었던 소아기로 퇴행시켜 부모가 주지 못했던 부모 역할을 대신하여 새로운 자아를 확립하고 정서 발달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나르시시스트 치료는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장기간(최소 5~10년)의 심리치료만이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병에 대한 자기인식과 공감능력을 높이고, 이상 행동과 완벽주의 성향을 줄임으로써 본인과 주변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주력해야 합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전문적으로 공부한 심리학자들조차 내원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 환자 중에 1달 이상 지속적으로 상담을 받는 경우가 10%도 안 된다고 할 정도입니다.
또한, 장기간 치료를 받더라도 효과는 전혀 없고, 치료 세션을 본인이 관심을 받는다는 느낌을 얻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외국에서는 치료자들이 굉장히 까다로워 하는 질환군에 속하죠. 심지어 자기애성 성격장애 환자는 아예 상담을 받아 주지 않는 곳도 많습니다. 치료자 본인의 감정소모 또한 매우 크고 약물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애초에 자기애성 성격장애에 대해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수련한 심리상담가의 수가 매우 적은 것도 문제입니다.
나르시시스트를 치료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인지행동치료, 스키마 치료, 게슈탈트 치료, 집단정신치료 등입니다. 경계선 성격장애와는 달리 두드러지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는 개별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복합치료가 권장됩니다.
표준화된 치료 공식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치료자의 능력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과정이 크게 차이납니다. 편집성이나 강박성을 비롯한 다른 성격장애들도 문제를 인정하지 못하고, 고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만으로 무조건 나르시시스트라고 몰아가는 실수를 범해서는 안 됩니다.
성격장애의 특성상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것도 나르시시스트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이유 중 하나입니다. 오히려 약물치료가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죠.
다만, 자기애성 성격장애에서 흔히 보이는 우울감이나 공격성, 충동성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경우, 이를 줄여주기 위해 단기적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는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르시시스트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앞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약물 치료가 힘든 점, 심리 치료만이 유일한 방법인데 치료사에게도 큰 부담이 따른다는 점에서 나르시시스트는 매우 치료가 힘든 정신질환 중 하나입니다.
주변에 중증 증상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치료를 권유하는 게 좋지만 나르시시스트는 애초에 남의 말을 잘 듣지 않죠. 그래서 치료가 매우 힘든 게 사실입니다. 그러나 개중에는 자신의 이러한 나르시시즘적 성향 때문에 사람들이 떠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상담치료를 선택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렇듯 환자가 치료 의지를 보이는 것이 나르시시스트 치료의 핵심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코패스 VS 소시오패스, 누가 더 무서울까? (0) | 2024.02.12 |
---|---|
반사회적 인격장애,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 차이점 (0) | 2024.02.11 |
조현병 치료를 잘못하면 불치병이 되는 이유 (0) | 2024.02.07 |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자식을 망치는 이유 (0) | 2024.02.06 |
나르시시스트가 사이코패스보다 위험한 이유 (0) | 2024.02.05 |